• 커뮤니티
  • 고용정책/NEWS
[경기도일자리재단] 청년구직지원금(신청기간 3/12~3/23) 2018-03-14 09:44



 

  • 모집인원 : 2,300명
  • 신청기간 : 2018년 3월 12일(월) 오전 9시부터 3월 23일(금) 오후 6시까지
  • 문의전화 : 031-270-9710 (경기도일자리재단 구직지원팀)

 



 

청년 구직지원금이란?

경기도에 거주하는 구직청년들에게 6개월간 월 50만원씩 최대 300만원의 구직 활동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일하고 싶은 청년, 이제 계획대로 쭉 직진하세요.

이기대씨

이기대 씨는
졸업 이후에 취업준비를 하면서 구직활동비용 마련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구직활동에 집중하기가 힘듭니다.

김희망씨

김희망 씨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분야로 취업 준비 중이나 비싼 교육비때문에 구직활동에 전념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운영절차

1
공고 및 신청 (온라인)
2
심 사
  • -서류 심사(구직활동계획서, 가구소득, 실업(미취업)기간, 경기도거주기간)
3
대상자 선정
  • 합격자 발표 : -경기도일자리재단 young.jobaba.net
    경기도청 www.gg.go.kr
  • -오리엔테이션
  • -체크카드(청·바·G) 발급
4
구직활동 여부확인
  • -매주 구직활동보고서 제출
  • -실제 활동 여부 확인
5
구직지원금 지원 (월1회)
  • -구직활동계획서에 따라 구직 활동 인정 시 지원
4
구직지원금 사용
  • -구직활동계획서에 제시된 활동에 필요한 제반 비용(포괄적 사용가능)







지원자격

지원 대상

  • -공고일('18.3.9)기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 (1983년 3월10일 ~ 2000년3월9일 출생)
  •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이하인 가구

가구규모별 소득인정액 및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단위: 원)

'18년도중위소득 150%
가구원수기준소득건강보험료
직장보험료지역보험료
1인2,508,15878,25593,905
2인4,270,646133,244159,893
3인5,524,725172,371206,846
4인6,778,803211,499253,798
5인8,032,881250,626300,751
6인9,286,961289,753347,704

* 2018 기준중위소득 : 보건복지부 고시 건강보험료는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본인부담금 

신청 제한

  1. 대학교 또는 대학원 재학생 (휴학생 포함) 단, 2018년 8월 졸업예정자, 방송통신대・야간 대학(원)생은 참여 가능
  2. 실업급여,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를 수급하고 있는 자
  3.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로 정기소득이 있는 자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포함)
  4. 기존 정부 일자리사업 참여중인 자
  5. 청년구직지원금 기 수혜자 (1회 이상 지급받은 경우)

지원방법

모집인원
2,300명
신청기간
신청기간 : 2018년 3월 12일(월) 09:00 ~ 3월 23일(금) 18:00
제출서류

서류 전형 :

  •  구직활동계획서 ( 신청서,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동의 등 온라인 작성)
    • *신청 전 확인할 사항 : 건강보험증번호, 지역/직장 구분, 피보험자수 (건강보험가입자 + 피부양자 등 보험급여 받는 인원)
    • *http://minwon.nhis.or.kr 민원신청 → 개인민원 → 자격확인
  •  주민등록초본(주민등록번호 뒷자리, 과거의 주소변동, 전입변동일, 개인인적사항 변경내역 포함)
  •  최종학력 졸업(예정)증명서
    • *온라인발급 : 민원24, 해당학교 홈페이지
    • *방문발급 : 해당학교
심사기준
항목점수
구직활동계획서30
가구소득30
미취업기간20
경기도거주기간20
  • - 가구소득은 건강보험증상의 건강보험료와 피보험자수로 산정
    • *건강보험증상으로 소득파악이 어려운 경우에는 별도 요구자료 제출을 통한 소득 파악
  • - 실업(미취업) 기간은 고용보험 최종상실일 또는 최종학력졸업(예정)일 중 최근일 기준으로 산정
  • - 경기도 거주기간은 최근 경기도 전입일로부터 산정
  • - 구직활동계획서는 지원동기의 적정성, 활동목표의 명확성, 활동계획의 구체성 등 사업취지 적합여부 심사
  • - 동점자는 구직활동계획서, 가구소득, 미취업기간, 경기도 거주기간 순서로 점수가 높은 신청자 선발

서류발급안내

서류발급안내

 
출처: 경기도일자리재단

이전글 | 4차 산업혁명, 미래 유망직업vs위기직업
다음글 | 2018 청년내일채움공제, 무엇이 바뀌었나?